드론 배송, 자율주행, 스마트 건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기술들이 정밀한 위치 정보를 필요로 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하지만 산간이나 해상처럼 인터넷 연결이 불안정한 곳에서는 데이터 통신 기반의 위치 보정 서비스를 사용하기 어려웠죠. 바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토지리정보원에서 'G-VRS'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다는 반가운 소식입니다!
오늘은 저와 함께 G-VRS가 무엇인지, 누가 어떻게 신청할 수 있는지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쉽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설명해 드릴게요.
G-VRS, 무엇이 다른가요?
G-VRS는 '격자형 가상기준점 서비스(Gridded-VRS)'의 약자입니다. 이름이 조금 어렵게 느껴지시죠? 쉽게 말해, 인터넷 통신 없이 위성 신호(방송)만으로 cm 수준의 초정밀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새로운 기술이에요.
기존의 VRS 서비스는 반드시 인터넷에 연결해야만 보정 정보를 받을 수 있어서 통신 음영 지역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했습니다. 하지만 G-VRS는 이런 단점을 극복하고 전국 어디서나 안정적인 고정밀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G-VRS의 가장 큰 장점은 인터넷 연결 유무에 상관없이 끊김 없는 고품질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는 자율주행차나 드론처럼 실시간으로 정밀한 위치가 중요한 분야에서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돼요.
시범 서비스 신청 자격 및 요건
이번 시범 서비스는 G-VRS의 성능을 검증하고 사용자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됩니다. 따라서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몇 가지 자격 요건이 있어요.
- 신청 대상: GNSS 측량 및 관련 기술에 대한 이해가 있는 산·학·연 전문가 및 관계자
- 모집 인원: 약 300명 내외 (선착순 또는 심사)
- 필수 장비: G-VRS 보정정보 수신이 가능한 전용 GNSS 수신기 보유자
가장 중요한 준비물은 G-VRS 서비스를 지원하는 GNSS 수신기입니다. 일반 스마트폰이나 내비게이션으로는 이용이 불가능해요. 주로 측량, 건설, 연구 분야에서 사용하는 전문가용 장비가 필요하니, 신청 전에 반드시 보유 장비의 지원 여부를 확인하셔야 합니다.
신청 절차 및 이용 가이드
신청 절차는 국토지리정보원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진행됩니다. 아래 단계를 따라오시면 어렵지 않게 신청하실 수 있어요.
- 국토지리정보원 회원가입: 먼저 국토지리정보원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완료합니다.
- 국토정보플랫폼 로그인: 가입한 아이디로 '국토정보플랫폼'에 로그인합니다.
- 위성기준점 서비스 신청: 메뉴에서 '위성기준점(GNSS) > 네트워크 RTK 서비스'를 찾아 서비스 이용 신청서를 작성합니다.
- G-VRS 시범 서비스 선택: 신청서 작성 시, 서비스 종류에서 'G-VRS 시범 서비스' 항목을 선택하고 장비 정보 등을 정확히 기입합니다.
- 승인 및 계정 발급: 신청 내용 검토 후, 담당자가 승인하면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계정 정보(ID, 비밀번호, 서버 주소 등)를 발급받게 됩니다.
G-VRS 시범 서비스 접속 정보 (예시) | |
---|---|
서버 주소 | ssr2osr.gnsson.com |
포트 번호 | 42101 |
계정 정보 | 신청 후 발급된 아이디/비밀번호 |
마운트 포인트 | 이동 시 'GVRS' / 고정 시 지역명 선택 |
*실제 접속 정보는 승인 시 안내되는 내용을 따르세요.
자주 묻는 질문 ❓
Q. G-VRS 서비스는 유료인가요?
A. 현재 진행되는 시범 서비스 기간에는 무료로 제공됩니다. 정식 서비스 전환 시 정책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Q. 기존 VRS와 G-VRS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A. 가장 큰 차이는 '인터넷 연결 필요 여부'입니다. 기존 VRS는 인터넷 통신이 필수적이지만, G-VRS는 위성 방송 신호로 보정 정보를 수신하여 인터넷 없이도 cm급 정밀 측위가 가능합니다.
Q. 시범 서비스 신청은 언제까지 가능한가요?
A. 시범 서비스 신청 기간은 국토지리정보원 공지사항에 별도로 게시됩니다. 모집 인원(300명)이 충족되면 조기 마감될 수 있으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수시로 홈페이지를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까지 G-VRS 시범 서비스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인터넷 음영 지역의 한계를 넘어 대한민국 전역에서 초정밀 위치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다는 점에서 정말 의미가 큰 것 같아요.
관련 분야에 종사하고 계시고, 전용 수신기를 보유하고 계신다면 이번 시범 서비스에 참여해서 차세대 기술을 미리 경험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G-VRS에 대해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로 질문해주세요!
2025.10.02 - [IT 정보] - 삼성·SK·OpenAI AI 반도체 동맹, HBM으로 열어가는 미래 총정리
'생활꿀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간 컴퓨팅이란? 메타버스를 넘어선 초현실 경험의 시작 (0) | 2025.09.30 |
---|---|
다이소 전통 시리즈 품절템 TOP 3, 보이면 무조건 사야 하는 이유 (0) | 2025.09.28 |
리튬이온 배터리 UPS,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 (0) | 2025.09.27 |